방사청, 다음 달 ’마린온 무장형’ 개발 계약 체결 <br />공격헬기 국내 개발 VS 해외 수입 논란 재점화 <br />국내 개발 경제 효과 VS 전력 강화·생존력 제고<br /><br /> <br />정부가 이르면 다음 달 국내 방산업체와 해병대 상륙 공격헬기의 체계 개발 계약을 맺을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상륙 공격헬기 도입이 확정된 지 8년 만인데, 국내개발을 강행할 경우 전력 약화와 헬기 배치 지연 등을 놓고 논란이 재점화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신준명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기관포와 대전차포 등으로 무장한 공격헬기. <br /> <br />상륙 작전 시 상륙 지역의 위협을 제거해 병력의 생존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무기 체계로 지난 2014년 우리 해병대 도입이 확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방위사업청은 이르면 다음 달 국산 상륙 기동헬기 마린온에 무장과 장갑을 탑재해 '마린온 무장형'을 개발하는 계약을 맺을 방침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방사청 관계자는 현재 한국항공우주산업(KAI)과 공격헬기 도입 사업을 협상하고 있다며 다음 달 체계 개발 계약을 목표로 업무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번 계약이 체결되면 국내 개발과 해외 수입을 놓고 벌어졌던 논란이 다시 불거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병력 수송이 주목적인 마린온의 경우, 해외의 공격전용 헬기 바이퍼나 아파치와는 달리 조종석이 좌우로 배치돼 넓적한 모양이라 적의 공격에 취약하고 <br /> <br />수직 상승속도와 무장탑재력 등이 현저히 떨어져 공격헬기로 개량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게 논란의 핵심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이승도 전 해병대 사령관 등도 공격헬기다운 헬기가 필요하다며 마린온 무장형 도입을 강하게 반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승도 / 前 해병대사령관 (지난 2020년 10월) : (국산)마린온 (기동)헬기에다가 무장을 장착한 헬기가 아닌 공격 헬기로서 운용되는 그런 헬기를 해병대에서 원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에 대해 개발사 KAI는 마린온 조종석에 방탄판을 적용하고 동력 계통을 국산화해 수직 상승 속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반박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정부는 국내 개발에 따른 고용 창출과 수출 등 경제적 효과도 기대하고 있지만 해병대의 전력 강화와 장병의 생존력 제고를 우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여전히 만만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[김영수 / 국방권익연구소장, 예비역 해군 소령 : 국가 안보를 위한 판단이 무엇이냐. 그것을 했을 때 추가적으로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준명 (shinjm752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82505023287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